주요 시중은행의 집단대출이 급감하고 있다. 정부가 보금자리론 대출을 연말까지 사실상 중단한데 이어 은행권을 향해 연이어 가계대출 관리를 압박한 결과로 풀이된다.
특히 이달부터는 집단대출 규제(중도금 보증한도 축소 등)도 한층 강화돼 향후 집단대출 증가폭이 더욱 감소할 것으로 점쳐진다.
특히 이달부터는 집단대출 규제(중도금 보증한도 축소 등)도 한층 강화돼 향후 집단대출 증가폭이 더욱 감소할 것으로 점쳐진다.
집단대출 규제가 시작된 지난 4일부터 7일까지 4영업일 동안 신한(행장 조용병)ㆍKB국민(행장 윤종규)ㆍ우리(행장 이광구)ㆍKEB하나(행장 함영주)ㆍNH농협(행장 이경섭)의 집단대출은 119억 원 증가에 그쳤다.
지난해 10월 5일부터 나흘간 996억 원이 늘었던 것에 비해 증가폭이 10분의 1수준으로 떨어졌다.
은행별로 살펴보면, 신한은행이 4영업일간 총 744억 원이 줄어 시중은행 중 집단대출금액이 가장 많이 감소했다. 이어 우리은행이 387억 원 감소했고 KB국민은행도 183억 원 줄었다.
반면 KEB하나은행은 같은 기간 집단대출금액이 1천258억 원이 증가했고, NH농협은행도 175억원 늘었다.
집단대출은 일반 주택담보대출과 달리 차주의 상환 능력을 심사하는 총부채상환비율(DTI)이나 여신심사 가이드라인(고정금리·원리금 분할상환을 유도) 적용을 받지 않았다. 이로 인해 한국은행(총재 이주열)에 따르면 집단대출 잔액이 지난해 말 110조3천억 원에서 올해 상반기 121조8천억 원으로 10.4% 증가했다.
집단대출은 전체 주택담보대출 가운데 절반가량을 차지하고 있어 가계부채 증가의 주범으로 꼽히고 있다.
이에 금융당국도 당초 방침을 바꿔 집단대출의 주택담보대출비율(LTV), DTI 수준을 파악하고 있다. 집단대출 실태와 부실 위험성을 정확히 파악해 집단대출에도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을 적용하기 위함이다.
이미 시중은행들은 자체적으로 저신용자·저소득층 등 소득이 낮은 차주, 지방 아파트 등에 대한 집단대출은 꺼리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이달부터 주택금융공사와 주택도시보증공사(이하 HUG)의 집단대출 보증한도가 100%에서 90%로 감소해, 10%의 손실부담을 지게된 시중은행들이 집단대출 자격심사를 한층 더 까다롭게 보고 있다.
이에 대해 시중은행 관계자는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올리고 차주(대출자)의 소득심사 능력에 대한 심사를 깐깐하게 하는 등 가계대출 관리에 나서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며 ”은행 입장에서는 상대적으로 손실부담이 적어 효자상품이었던 집단대출 규제로 인해 수익성 악화가 자명하고, 소비자 입장에서는 1금융에서 거부당한 소비자들이 2금융으로 몰리는 등 ‘풍선효과’와 ‘대출대란’이 우려스럽다“고 밝혔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정래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