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와 대통령 하야 정국 여파로 이달 행장 임기가 만료되는 우리은행과 IBK기업은행의 차기 은행장 인선작업이 오리무중이다.
금융권에서는 당초 낙하산 인사가 두 은행의 차기 행장 자리를 차지할 것으로 내다봤으나 최순실 사태로 박근혜 대통령이 퇴진의사를 밝힘에 따라 행장선임 작업 자체가 제때 이뤄지지 않을 가능성마저 높게 점쳐지고 있다.
오늘 27일 임기가 만료되는 권선주 IBK기업은행장은 연임 가능성이 낮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IBK기업은행장의 연임전례가 거의 없는데다, 최근 청와대와 엇박자를 연출했기 때문이다.
일례로 권 행장은 지난달 임기가 만료된 IBK자산운용 대표 자리에 호남 출신 2명의 후보를 청와대에 인사검증을 요청했지만 모두 반려됐다. 대신 청와대는 경북 김천 출신 정만섭 전 IBK저축은행 대표를 내정했다. 정 내정자는 권 행장의 추천배수에 포함되지 않았던 인물이다.
IBK기업은행장 임명은 금융위원장의 제청을 거쳐 대통령이 임명한다. 기획재정부가 지분 51.8%를 보유하고 있어 과거부터 은행장 인선과정에서 대통령이나 청와대 의중이 크게 작용해왔다.
권 행장 후임으로 낙하산 인사가 내려올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었지만, 대통령이 퇴진 의사를 밝힌 가운데 탄핵 문제로 정국이 소용돌이 치고 있어서 쉽사리 후임자가 정해지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달 30일에 임기가 만료되는 이광구 은행장은 4전5기 우리은행 민영화의 '일등공신'으로 연임이 기정사실화됐으나 역시 거취가 미궁에 빠졌다.
우리은행은 민영화 이후 과점주주들이 추천한 사외이사 중심으로 꾸려진 임원후보추천위원회가 차기 행장을 선출하는 구조로 변화했지만, 여전히 최대주주가 21.35%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예금보험공사(사장 곽범국)여서 정부 입김에서 완전히 자유롭기는 어려운 처지다.
금융위원회(위원장 임종룡)와 예보는 새롭게 선출된 과점주주들에게 인사권을 귀속시키겠다고 거듭 강조하고 있지만, 현재 우리은행장 후임을 둘러싼 각종 하마평이 무성하다.
임원후보추천위원회가 얼마나 독립적으로 운영될 지는 기존 예보 출신 6명의 사외이사들이 전원 교체될 지 여부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이들 두 은행 모두 행장 연임과 후임을 둘러싼 하마평과 각종 추측들로 연일 입방아에 오르내리고 있지만, 내부적으로는 차분한 분위기를 이어가고 있다.
은행 관계자는 "행장 연임에 대해 직원들이 할 수 있는 것이 거의 없다보니 지켜보자는 입장이 강하다"면서도 "정부발 외부인사보다는 현 행장의 연임이 우선이고, 차선책으로 정책의 연속성을 가질 수 있는 내부인사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정래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