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대평 카드는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의 총리 기용이 무산된 뒤 대안으로 급부상했으나 선진당 내부의 복잡한 사정과 여권 내부의 미묘한 역학구도가 맞물리면서 좀처럼 진도를 내지 못하는 형국이다.
심 대표 본인은 총리 직에 강한 의지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키'를 쥐고 있는 선진당 이회창 총재가 17일 공개적으로 반대의사를 표명함에 따라 사실상 물 건너간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이 총재는 이날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주요당직자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이명박 대통령과의 청와대 회동때) 보수의 세가 모여야 이 난국을 풀 수 있다고 하는 것은 정확한 인식이 아니라고 생각한다는 말을 했다"고 전했다.
이 총재의 발언은 보수대연합 차원에서 거론되는 심 대표 총리 기용설에 대해 소극적인 입장을 피력한 것 아니냐는 관측을 낳았다. 실제 이 총재는 그간 심 대표 입각에 부정적 입장을 취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도 이날 심 대표에 대한 총리직 제안 사실을 부인하고 나섰다. 핵심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심대평 총리론에 대해 현실적으로 이런 저런 난점도 있고 고려해야 할 변수도 많다"면서 "일각에서 총리 제안 여부를 두고 논란이 많은데 공식적인 제안은 없었다"고 말했다.
비록 원론적 차원의 발언이긴 하지만 청와대가 공개적으로 이 같은 입장을 밝힌 것은 이 총재의 `의중'을 파악하고 심대평 카드를 접기 위한 수순을 밟고 있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보수진영의 결속을 다져야 할 청와대 입장에선 이 총재의 `감정'을 상하게 하면서까지 심 대표를 영입하는 게 부담스러울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 총재와의 갈등은 보수의 분열을 초래하고 그렇게 되면 안그래도 어려움에 처한 새 정부와 여권은 정말로 위기를 맞을 수 있다는 위기의식의 발로라는 얘기다.
여기에다 한나라당 일각의 비판적인 의견도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남경필 의원을 비롯한 일부 쇄신파 의원들은 인위적인 보수대연합은 진보진영과의 대립구도를 만들게 된다며 비판적인 목소리를 내고 있다.
여권 관계자는 "이런 저런 이유로 심대평 카드가 점점 성사되기 어려운 쪽으로 가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선진당 핵심 관계자는 "심 대표 입장에서 공식 제안이라고 하면 대통령이나 대통령 실장이 제안하는 것인 데 그 밑의 사람 3명이 총리 직에 대해 이야기했다"면서 청와대의 진정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선진당 다른 관계자도 "처음부터 실체가 없었던 사건인데 왜 이렇게 일이 커졌는지 의아하다"며 "당 입장에서는 일종의 뼈아픈 해프닝으로 보면 될 것 같다"고 토로했다.
그러나 심 대표와 가까운 선진당 인사는 "심 대표가 대통령의 확실한 제안만 있다면 탈당을 하고서라도 총리로 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안다"며 여지를 남겼다.
청와대 주변에서는 심대평 카드가 무산될 경우 강현욱 전 전북지사, 이원종 전 충북지사,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 전윤철 전 감사원장이 총리 후보군에 포함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연합뉴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