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0억 원이 넘는 사건의 피해금액도 문제지만 육군 고등검찰부의 조사 결과 군인 및 민간인 등 피해자가 모두 750명이 넘는 것으로 파악됐기 때문이다. 이 중 현역 군인 피해자만도 650여 명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때문에 군은 피해 대책 마련은 물론 혹시 발생할 지 모를 피해자들의 극단적 행동을 방지하기 위해 고심해왔다.
이런 상황에서 이번 사건 피의자 박모(25) 중위에게 6천여만 원의 돈을 건넨 것으로 밝혀진 이모(26.3사40기) 중위가 18일 오후 2시25분께 서울시 노원구 상계동 자택에서 목을 매 숨진 채 발견됐다.
이상희 국방장관은 이날 오후 4시께 이 사건을 보고받자마자 19일 오전 일정을 모두 취소하고 계룡대 육군본부에서 군사령관급 이상 주요 지휘관이 참석하는 긴급 주요지휘관회의를 소집했다.
회의에서는 금융사기 사건 피해자들에 대한 대책 및 구제지원 방안 등이 논의될 것이라고 국방부는 전했다.
육군도 이 사건이 언론을 통해 공개된 바로 다음 날인 17일부터 `피해자 종합 지원팀'을 가동, 피해자들의 재무 및 법률 상담에 나섰지만 이 중위의 사망 소식에 곤혹스런 표정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인사, 법무, 경리 장교 및 헌병 등으로 구성된 피해자 종합지원팀은 군 검찰 조사 결과 밝혀진 피해자에게 직접 연락을 취해 제2금융권 대출금을 제1금융권으로 전환하는 방법, 법원 개인회생절차 신청 과정 등에 대해 상담하고 있다.
또 군 기관이라는 이유로 상담을 꺼리는 피해자를 위해 법률구조공단 대전지부에서도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하는 한편 필요할 경우 피해발생부대로 지원팀이 이동해 상담을 제공할 방침이라고 육군은 덧붙였다.
육군 관계자는 "현역 군인 피해자들이 많고 일부는 피해액도 큰 것으로 조사돼 불상사가 있지는 않을 지 우려했었다"면서 "군이 다각도로 구제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만큼 피해자들이 모쪼록 마음을 강하게 먹고 의연하게 대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중위는 전모.김모 중위와 함께 지난해 3월부터 지난달 27일까지 고수익을 미끼로 동료 군인 및 민간인 750여 명으로부터 400여억 원을 받아 가로챈 혐의로 지난달 28일 구속됐다.(연합뉴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