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병만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내정자가 한국외대총장으로 재임 당시 수천만원의 업무추진비를 전용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안 내정자가 부적절하게 사용한 업무추진비 내역을 본지가 입수했다.
내역서에는 서울대 법대 출신의 국회의원 정치자금, 모 건설본부장의 카드대금 대납 뿐 아니라 자신의 양복비 등으로도 수백만원을 사용한 것으로 드러나 있다.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내정자로서의 자질 논란이 더 거세질 전망이다.
본보가 8일 입수한 2003년도 안내정자의 업무추진비(현금수령증) 현황 문건에 따르면 안 총장은 용처가 불분명한 2000여만원의 현금을 업무추진비로 사용된 것으로 드러났다.
이문건에 따르면 안 총장은 한나라당 국회의원 정치자금 250만원을 비롯, 지방순시를 명목으로 140만원 짜리 양복을 구입한 데다 모 건설본부장의 카드 대금을 대납하는 등 모두 2000여만원의 현금을 사용했다.특히 양복 구입의 경우 '지방 순회를 앞두고 예복 구입 경비 지출'(첫번째 사진 참조)이라는 설명이 적혀 있어 업무추진비를 사적으로 사용했다는 부인할수없는 증거가 되고 있다..
이렇게 사용 된 현금은 '현금수령증'을 재무부서에 제출하면 모두 학교 측이 지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사실이 드러나면서 지난 2005년 이미 학내에서 논란이 불거지면서 당시 교수협의회는 '총장 업무추진비 진상위원회를 구성해 진상파악에 나섰던 것으로 드러났다.
당시 진상위원회 소속이었던 교수는 "법인명의의 업무추진비로 정치인 후원금 명목으로 전용한 것은 명백한 불법"이라며 "2003년 사용한 업무추진비 중 용처가 불문명한 1억원 중 위원회가 부적절하게 사용한 것으로 판단한 금액은 5천만원으로 이 중 현금만 2000만원에 달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정치후원금은 박진, 정종복, 황우여, 이윤성 의원 등 대부분 한나라당 소속이었으며 이 중 자신의 모교인 서울대 법대 출신의 정치인에게 집중적으로 전달 됐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논란이 불거지자 외대는 의견서를 통해 "정치후원금 논란 자체가 해당 법률적용시점의 오인에서 비롯된 착오였다는 점이 고려돼 검찰에서도 기소유예판정을 받았다"고 해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