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일 금융혁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금융 수장들이 모인자리에서 은행권 주요 인사들은 핀테크와 금융당국의 감독·검사 혁신에 대한 목소리를 냈다.
권선주 IBK기업은행장과 홍기택 KDB산업은행장은 정책금융기관 수장답게 금융당국의 핵심 추진과제인 핀테크에 대한 발언을 했다.
권 행장은 “핀테크 사이트에 모든 고객이 정보 등록을 해야 간편하게 결제가 가능하듯 핀테크와 업무제휴는 결국 보안이슈가 중요하다”라며 “금융사에서 간편결제 실력을 갖추지 못해서가 아니라 인증서나 오티피 등 (규제가 있어서) 못 나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TF 구성 때는 금융사 직원도 많이 참여하는 등 현장 의견이 충분히 받아들여줬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홍 행장은 핀테크에 대한 위기의식을 쏟아냈다.
홍 행장은 “우리나라는 인터넷뱅킹이 잘 된 나라다 보니 핀테크가 현재 지급결제와 송금정도에 머물고 있다”며 “인증서 등으로 불편하니 핀테크가 간편결제로 가고 수익모델로서 답이 별로 안 나오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결국 자금중개 효율성으로 대출이나 투자중개로 가야하는데 복잡한 영역이고 은산분리 등 걸림돌도 있고, 외국에서는 법과 대학 학생별로 대출하는 등 초점을 특정 고객군에 맞춘다”며 “결국 포털이나 SNS에 뱅킹업무를 줄 수 있느냐의 문제인데, 나중에 은행이 인수합병 당할 수도 있는 만큼 속도를 낼 수 있는지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윤종규 KB금융 회장은 핀테크에 대해 금융권이 나아갈 방향에 대한 발언을 했다.
윤 회장은 “금융권에서는 옴니채널 중심으로 오프라인의 강점을 토대로 온라인을 확충하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속도를 빨리 해야겠다 생각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로컬플레이어 육성, 로컬시장을 지키기 위해 카드사 연합군에 의한 표준화의 신속한 추진, 고객정보와 고객접점에 대한 금융권의 경쟁력을 키울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임종룡 농협금융 회장은 금융당국이 규제를 풀고 감독·검사 관행을 바꿔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임 회장은 “충당금을 적게 쌓을 수 있으면 은행들은 수익을 낼 수 있고, 금융사는 금융당국이 노력하지 않아도 스스로 노력하고 있다”며 “국제 기준을 맞추는데도 이미 은행들은 벅차다”며 건전성 규제의 대폭 완화를 강조했다.
이어 “명문화돼있지 않은 규제, 구두 지도 명문 시달 등 금융사가 가장 아픈 부분이 이런 부분인데 현장지도 구두지도가 현장에서는 규제가 많다고 느끼게 한다”며 “현지지시 구두지시를 명료화시키고 규정화시킬 수 있는지 금융당국이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금융위는 지난 3일 ‘대한민국 금융의 길을 묻다’라는 주제로 예금보험공사 대강당에서 범금융 대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한국금융의 30년 나아갈 길을 설계한다는 목표로 개최됐으며 신제윤 금융위원장과 진웅섭 금융감독원장을 비롯해 금융지주, 은행, 증권, 카드업계 그리고 금융연구원, 은행연합회 등 6개 협회의 CEO와 전문가 등 108명이 참석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 = 유성용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