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해운은 22일 이사회를 열고 재무구조 개선 및 경영정상화를 위해 채권단에 자율협약을 신청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세계경제의 장기불황, 컨테이너 선사들의 치열한 경쟁으로 어려움을 돌파하지 못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최근 유동성 위기를 겪어 온 한진해운은 오는 25일 채권단에 자율협약을 신청하게 된다.
한진해운 측은 "불가항력적 환경아래 영업손실이 증가되고 재무구조가 악화돼 현재 추진 중인 독자적 자구노력만으로 유동성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상황이 됐다고 판단했다"며 "채권단의 지원 하에 자율협약을 신청할 수 밖에 없게 됐다"고 밝혔다.
그럼에도 한진그룹은 종합물류그룹으로서 한진해운을 국가대표 해운사로 성장시키고자 하는 의지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회사 측은 향후 채권단의 지원을 토대로 한진해운의 경영정상화에 모든 노력을 기울여 나간다는 방침이다.
한진해운은 지난 2006년 고 조수호 회장 타계 후 2009년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해 독자적 경영을 해왔다. 이후 외부에서 영입한 경영인이 적절한 중장기 전략 없이 무리한 확장에만 열을 올려 재무적 부담을 가중시켰다는 평가다. 결국 한진해운은 2013년 기준 부채비율이 1,400%, 영업적자가 3천억 원에 달했다.
주력 계열사인 대한항공은 국적선사의 정상화를 위한 구원투수로서 한진해운 경영에 참여했다.
한진해운은 대한항공 및 그룹 계열사들로부터 1조 원을 지원받는 등 총 2억1천 억원에 이르는 유동성 확보를 진행했다.
조양호 회장이 “한진해운이 흑자를 달성할 때까지 연봉을 받지 않겠다”는 등 강력한 정상화 의지를 표명하며 대대적인 자구책을 통해 2014년 2분기부터 영업흑자를 실현하는 가시적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해운업은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타 산업보다 훨씬 큰 산업”이라며 “국가 기반산업인 해운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부의 체계적인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조윤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