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시중은행, 기준금리 인하로 수익성 '비상'...수신금리 인하 불가피
상태바
시중은행, 기준금리 인하로 수익성 '비상'...수신금리 인하 불가피
  • 김정래 기자 kjl@csnews.co.kr
  • 승인 2016.06.10 08: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로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금리가 더 내려갈 전망이다.

시중은행들은 저금리 인한 예대마진 축소로 수익성 악화가 고착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기준금리마저 인하되자 속이 타들어가고 있다.

전국은행연합회에 따르면 KB국민은행 KEB하나은행 우리은행 등 시중은행의 4월 주택담보대출(만기 10년 이상 분할상환식·신규 취급 기준) 평균 금리는 대부분 2%대로 떨어진 상태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KB국민은행은 2.95%로 지난해 10월 이후 6개월 만에 2%대로 하락했고 KEB하나은행도 한 달 만에 0.1%포인트 하락한 2.99%로 나타났다. 우리은행은 0.03%포인트 떨어져 2.85%다. 신한은행은 3.01%로 2%대 진입을 눈앞에 뒀다.

주택담보대출의 기준 금리로 쓰이는 코픽스(COFIX·은행자금조달비용지수)의 지속적인 하락세와 더불어 이날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1.50%에서 1.25%로 0.25%포인트 내려 주택담보대출금리 하락은 불가피하다.

김형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기준금리 인하로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더 하락할 것"이라며 "신규 분양시장이 활성화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금융권에서는 이번 기준금리 인하로 1천억 원에서 2천억 원 가량의 영업이익 감소를 예상하고 있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에 따르면 한은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추가 인하하면 4대 은행의 순이자마진(NIM)은 0.04∼0.09%포인트 떨어지 것으로 조사됐다. 이자이익도 2천760억 원에서 6천848억 원 가량 줄어드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같은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일부 시중은행들은 예대마진 수익성 악화를 수신금리 인하로 돌파하겠다는 입장이다. 

통상적으로 주택담보대출을 비롯한 대출상품은 코픽스를 연동한 경우가 많아 실제 인하되기까지 2~3개월 정도 시간 차가 존재한다. 

이 기간 동안 일부 시중은행들은 수신금리 인하시기와 인하폭을 검토, 이를 신규 고객 유치로 활용해 위기를 기회로 만들겠다는 복안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영업이익 감소가 분명하고 이를 수수료 인상과 같은 국민정서에 반하는 방법으로는 타개하기 힘들다"며 "기준금리 인하로 인해 예금 신규가입시 금리인하 요인이 있기 때문에 내부적으로 수신금리 인하시기와 인하폭을 검토 중이다"고 밝혔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