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우리은행 민영화 놓고 공자위 vs. 금융위 '엇박자'
상태바
우리은행 민영화 놓고 공자위 vs. 금융위 '엇박자'
  • 김정래 기자 kjl@csnews.co.kr
  • 승인 2016.06.30 08: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은행(행장 이광구)이 민영화를 둘러싸고 공적자금관리위원회와 금융당국의이 엇박자에 속앓이를 하고 있다.

브렉시트로 국내 증시가 출렁이는 가운데 1만원대를 유지하던 우리은행 주가가 9천원대로 주저앉았다. 여기에 우리은행의 '유상증자를 통한 자본확충설'까지 제기되면서 우리은행은 5번째 민영화 추진도 무산될까 우려하고 있다.

'유상증자를 통한 자본확충설'의 진원지는 윤창현 민간 공적자금위원장의 "우리은행 지분투자자가 유상증자에 참여해야 한다"는 26일 연합뉴스 인터뷰 발언에서 촉발됐다.

브렉시트로 우리은행 주가가 떨어지자마자 윤 위원장은 우리은행 민영화를 통한 공적자금 회수가 가장 큰 화두라는 것을 재차 강조한 것이다. 

금융업계 관계자들은 "윤 위원장이 말하는 증자를 전제로 하면 우리은행 지분을 매수할 투자자는 찾기 힘들 것이다"며 "주식인수자가 증자에도 참여해야 한다는 것은 재무적 부담이 늘어나게 된다는 의미인데 그럴 투자자가 얼마나 있겠느냐"고 입을 모았다.

또 한명의 공자위 위원장인 임종룡 금융위원회 위원장은 "민영화는 꼭 필요하다"며 "매각 여건이 긍정적으로 변화되고 있으니 그런 점을 감안해 의지를 갖고 매각을 추진할 것"이라며 우리은행 매각의지를 분명하고 있다. 

이에 대해 한 금융권 관계자는 "우리은행 민영화에 성공할 경우 임 위원장은 금융당국의 숙원사업이었던 만큼 상당한 공적을 올릴 수 있을 것"이라며 "우리은행 매각을 늦출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반면에, 그는 "윤 위원장은 우리은행 주가가 1만 원 대 아래(9천500원, 29일 종가 기준)에서 민영화 작업이 진행되게 되면 헐 값 매각이라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며 "임 위원장과 각을 세우더라도 '유상증자를 통한 자본확충'을 통해 공적자금 회수를 최우선 순위에 두고 있다는 의지를 분명히 한 것이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우리은행은 "BIS비율은 3월말 기준 13.55%이지만, 9월말이면 타행 수준인 14%대로 상승할 것"이라며 "자체적인 자본확충 계획을 통해 증자 없이도 자본건전성을 개선할 수 있다"고 윤 위원장의 '유상증자를 통한 자본확충'에 강력히 반발했다.

BIS비율은 국제결제은행(BIS)이 제시한 은행의 자기자본비율로, 은행경영의 건전성을 체크하는 지표로 이용된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유상증자는 기존 주주들의 주식가치 하락을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는 주가를 올려하는 현 상황에서 터무니없는 주장이다"며 "증자를 하지 않아도 자본은 충분하다. 오히려 민영화의 걸림돌은 공자위와 금융위의 엇박자에 민영화 속도가 늦춰지는 것이다"고 강조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정래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