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들이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여신 등급을 '정상'에서 '요주의'로 내리면서 충당금 폭탄이 현실화되고 있다.
특히 앞으로 조선업의 구조조정이 진행될 경우, 국내 은행권은 대우조선해양 등 조선 빅3의 은행권 대출규모가 50조원을 넘어 충당금 부담으로 인한 리스크관리 강화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금융권에 따르면 '정상'은 대출자산에 대한 충당금으로 0.85%만 쌓으면 되지만 '요주의'로 분류하면 대출 자산의 7~19%, 고정은 20~49%, 회수의문은 50~99%, 추정손실은 대출액의 100%를 충당금으로 쌓아야 한다.
금융권에 따르면 '정상'은 대출자산에 대한 충당금으로 0.85%만 쌓으면 되지만 '요주의'로 분류하면 대출 자산의 7~19%, 고정은 20~49%, 회수의문은 50~99%, 추정손실은 대출액의 100%를 충당금으로 쌓아야 한다.
대우조선해양의 위험노출액(익스포저)은 수출입은행(행장 이덕훈)이 12조6천억 원으로 가장 많고, 산업은행(회장 이동걸)이 6조3천억 원, NH농협은행(행장 이경섭)이 1조4천억 원 등 특수은행이 20조원을 넘는다.
또 KEB하나은행(행장 함영주) 8천250억 원, KB국민은행(행장 윤종규)6천300억 원, 우리은행(행장 이광구) 4천900억 원, 신한은행(행장 함영주) 2천800억 원 등 주요 시중은행의 위험노출액(익스포저)도 2조원을 웃돈다.
이미 KB국민은행은 지난 4월, 신한은행은 지난 5월에 각각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여신 등급을 요주의로 조정하고 각각 1천50억 원과 300억 원 정도의 충당금을 쌓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번에 여신등급을 '요주의'로 하향 조정한 KEB하나은행도 최대 1천570억 원의 충당금을 쌓아야 한다. KEB하나은행은 우선 580억 원의 충당금을 추가로 적립했다.
NH농협은행의 경우,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위험노출액(익스포저)은 약 1조4천205억 원으로 국책은행을 제외하고 가장 많다.
NH농협은행은 '요주의'로 여신 등급을 조정함에 따라 최대 2천660억 원의 충당금을 쌓아야 한다. 일단 농협은행은 452억 원의 충당금을 추가로 확보해 총 745억 원을 적립한 상태다.
반면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우리은행은 여전히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여신 등급을 '정상'으로 유지하고 있어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먼저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은 '국익'을 이유로 들며 "조선업과 국가경제에 미칠 악영향 때문에 일단 정상 등급을 유지하겠다"는 입장이다.
우리은행도 이 같은 논리를 펴고 있으나, 은행업계에서는 "내부적으로 대우조선해양에 대해 여신등급 '요주의' 조정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으나, '민영화'를 앞두고 정부의 신경을 거스르지 않기 위해 결단을 미루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들 은행들의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위험노출액(익스포저)은 4월 말 기준 약 19조5천800억 원 수준이다. 전체 익스포저(22조8302억원)의 약 84%가 넘어서는 수치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정래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