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민영화 작업에 지지부진한 태도를 보여왔던 금융위원회 산하 공적자금관리위원회(이하 공자위)가 '조기 매각'으로 입장을 선회한 것으로 보인다.
그간 우리은행(행장 이광구) 민영화 작업을 실무적으로 지휘하고 있는 공자위는 '헐값 매각' 논란과 '공적자금 회수'에 대한 부담감으로 매각공고 시기조차 내놓지 못하고 있었다.
특히 윤창현 공자위 위원장은 공적자금 회수를 못할 경우 '배임'문제까지 거론될 수 있어 '유상증자'와 '진성 투자자'를 희망 조건으로 거는 등 부담감을 비춰왔다.
그러나 올해가 지나면 대통령선거 일정 등으로 인해 우리은행 민영화 작업이 좌초될 가능성이 크고, 공적자금이 투입된 국내외 금융사의 민영화 역사에서 우리은행 민영화가 가장 오랜 시간이 걸린 불명예스러운 사례로 기록될 수 있다는 지적에 내부 기류가 바뀌었다.
당장 공자위는 이달 말 개최되는 공자위 본회의에서 '공적자금 회수'에 방점이 찍힌 기존 매각 방식을 바꿀 방침이다.
앞으로는 우리은행 민영화 성공에 초점을 맞춰 시장 가격으로 30% 주식을 우선 매각하고 이후 민영화 성공 이슈를 재료로 나머지 21%를 판 뒤, 공적자금 100% 회수 목표주가였던 1만3천500원 선에 최대한 맞추겠다는 전략이다.
앞으로는 우리은행 민영화 성공에 초점을 맞춰 시장 가격으로 30% 주식을 우선 매각하고 이후 민영화 성공 이슈를 재료로 나머지 21%를 판 뒤, 공적자금 100% 회수 목표주가였던 1만3천500원 선에 최대한 맞추겠다는 전략이다.
현재 우리은행 공적자금 회수율은 64.1%다.
금융업계는 시장 가격으로 30% 주식을 우선 매각하더라도, 과점 주주 참여자들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과 잔여 지분을 가진 예보의 경영 불간섭 방안 등을 제시하면 나머지 21% 주식 매각에서 100% 공적자금 회수율 달성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조직 내부에서는 윤창현 공자위 위원장과 임종룡 금융위원회 위원장이 우리은행 민영화 실패 한 뒤 서로 비방 하는 행위를 피하기 위해서라도 적극적으로 양 위원장이 우리은행 민영화 작업에 임할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다"며 "본위원회에서 매각 방안과 일정이 구체화되면 다음달부터 우리은행 매각 작업에 가속도가 붙을 것이다"고 말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정래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