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은 24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6월말 보험회사 지급여력비율(RBC) 현황을 발표했다.
RBC비율은 보험회사 재무건전성을 측정하는 지표로 가용자본을 요구자본으로 나눈 값이다. 현행 보험업법에서 100%이상을 유지토록 규정하고 있다.
보험사의 RBC비율이 지난 3월보다 증가한 이유는 요구자본 증가분보다 가용자본 증가분이 더 컸기 때문이다.
가용자본은 금리하락에 따른 영향으로 매도가능증권평가이익(자본조정) 등이 7조3천억 원 증가했다. 요구자본도 늘었다. 요구자본은 금리하락의 영향으로 금리위험액이 9천억 원 증가했다.
업권별로 살펴보면 생명보험사가 3월말 284.7%에서 6월 말 297.1%로 12.4%포인트 상승했다. 손해보험사는 251.4%에서 269.1%로 17.7%포인트 늘어났다.
회사별로는 KDB생명이 156.1%에서 192.4%로 36.3%포인트 증가하면서 생보사 중 가장 많이 늘어났다. 손보사에서는 MG손해보험이 86.5%포인트 상승해 239.3%를 기록했다.
가장 RBC비율이 낮은 회사는 생보사에서는 현대라이프생명 179%, 손보사에서는 흥국화재가 151.1%를 기록했다.
현대라이프생명은 “타사는 6월말 기준으로 채권평가이익을 모두 반영한 상태지만 우리는 채권평가이익을 아직 미반영한 상태”라며 “채권평가이익 반영 후 9월 RBC비율은 276% 로 올라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정다혜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