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2조원 펀드 조성해 해외건설 지원
상태바
2조원 펀드 조성해 해외건설 지원
  • 뉴스관리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08.07.04 10: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유가에 따른 중동 특수 등 호황을 맞고 있는 세계 건설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정부가 2조원 상당의 글로벌 인프라펀드를 조성한다.

   토지공사.주택공사 등 건설관련 공기업의 해외진출 범위를 확대하고 중소기업에는 정보.전문인력.금융 등 분야에 대한 종합적인 지원에 나선다.

   기획재정부와 국토해양부는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하는 해외건설 지원 종합대책을 확정했다고 4일 밝혔다.

   정부는 우선 민관 공동으로 약 2조원 규모의 글로벌 인프라펀드를 만들어 자원개발 패키지딜 진출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 펀드는 석유.광물 등이 풍부한 자원부국의 자원개발과 인프라 건설을 패키지로 수주하는 중소기업에 대해 자금을 지원하게 된다. 펀드 조성방식과 투자구조, 투자 대상사업 선정기준 등 구체적 방안은 하반기 중에 마련할 예정이다.

   정부는 또 자원개발과 인프라건설 패키지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수주단계별로 접근 전략을 차별화하기로 했다. 주요국에 민.관 합동 수주지원단을 파견해 사업 발굴을 돕고 수주단계에서 정부가 계약체결을 지원하며 경제공동위원회 등 국가간 협의체를 통해 진출기업의 애로를 해소할 계획이다.

   동남아.아프리카.중앙아 국가들이 한국의 인프라 구축경험을 벤치마킹하기를 원한다는 점에서 토지공사.주택공사.도로공사 등 정부투자기관의 해외진출 범위를 확대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정부투자기관과 민간기업 간 합작수주를 활성화할 방침이다.

   공적개발원조(ODA)를 통해 사업타당성을 조사하고 이를 수출입은행의 수출금융과 연계하며 조사결과를 해외건설종합정보망 등과 공유하는 시스템도 구축한다.

   러시아.카자흐스탄.나이지리아.알제리.브라질.칠레 등을 중점 개척시장으로 신규 지정해 진출 지원도 강화한다. 남미.아프리카.독립국가연합(CIS) 등과는 조세조약을 체결해 과실송금제한, 장비반입 관세 등 진출기업의 애로를 해소한다.

   중소기업 지원 차원에서 주요 진출국가에 관한 리스크.조세.투자제약 등에 대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을 마련하고 컨설팅도 확대한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컨소시엄을 구성한 해외 건설현장에는 병력특례 산업기능요원, 전문연구요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산학 합동으로 연간 700명 규모의 해외건설 전문인력도 양성한다. 중소기업에 수출입은행의 대외채무 보증제도를 도입하고 수출보험공사의 이행보증도 강화한다.

   한국기업의 해외건설 수주 실적은 2005년 109억달러, 2006년 165억달러, 2007년 398억달러로 급증했으며 올해는 500억달러가 예상되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관계자는 "고유가에 따른 중동특수와 세계적인 개발붐에 의해 활황세를 보이고 있는 해외건설 부문을 보다 활성화해 고유가로 인한 어려움을 극복할 동력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차원에서 해외건설 지원 종합대책을 내놓게 됐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